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종합부동산세 기준 및 절세 방법 (종부세 계산기)

종합부동산세 기준 및 절세 방법 (종부세 계산기)

 

< 목차 >

종부세 과세 기준 (2025년 기준)

종부세 계산 방식

종부세 확인 방법 및 계산기 활용 팁

종부세 절세 방법

 

 

 종부세 과세 기준 (2025년 기준)

 

 

다주택자 규제 완화나 세율 변동 같은 부동산 세제 변화는 한순간에 수백만 원, 심지어 수천만 원의 세금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종합부동산세는 단순히 “집이 많으면 내는 세금”이 아니라, 보유 자산 규모·보유 기간·지역 규제 상황에 따라 세금 부담이 크게 달라지는 민감한 영역입니다. 종부세 과세 기준은 보유 주택 수와 공시가격 합산 금액에 따라 달라지는데 아래 과세 기준을 통해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 1주택자: 공시가격 합계가 12억 원 초과 시 과세
  • 2주택 이상 보유자 또는 조정대상지역 2주택자: 공시가격 합계가 6억 원 초과 시 과세
  • 법인 보유 주택: 공시가격 합계가 0원 초과 시 과세(전액 과세 대상)

 

 

국토교통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부동산 공시가격을 의미하며, 시세보다 낮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 국토교통부의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를 통해 간단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국토교통부 부동산공시가격 알리미

 

 

 종부세 계산 방식

 

종부세는 과세표준에 종부세율을 곱해 계산합니다.

  1. 공시가격 합산
  2. 기본공제 금액 차감 (1주택자 12억, 다주택자 6억)
  3. 세율 적용 – 보유 주택 수와 금액에 따라 **0.5%~6%**의 누진세율 적용
  4. 세부담 상한 – 1주택자 150%, 다주택자 300% 상한

📌 예시) 1주택 공시가격 15억 원 → (15억 - 12억) = 3억 과세표준 → 세율 0.6% 적용 → 종부세 약 180만 원 + 농어촌특별세

 

 

종합부동산세 기준 및 절세 방법 (종부세 계산기)

 

 

 종부세 확인 방법 및 계산기 활용 팁

 

종부세 부과 여부와 금액은 국세청 홈택스와 위택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세청 홈택스 → ‘세금 모의계산’ 메뉴에서 ‘종합부동산세’ 선택
  • 위택스 → 재산세/종부세 통합 조회 가능

 

정부24 → ‘공시가격 열람’으로 본인 주택의 공시가격 확인 후 직접 계산 가능

 

종부세 계산기를 사용하면 예상 세금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세청 홈택스 종부세 계산기는 매년 업데이트된 세율을 반영
  • 입력 항목: 주택 소재지, 공시가격, 주택 수, 보유 지분율, 조정대상지역 여부
  • 결과값에 농어촌특별세와 지방교육세 포함 여부 확인 필요


국세청 홈택스 모의계산

 

 

 종부세 절세 방법

 

  • 1주택 장기보유공제: 최대 80%까지 과세표준 공제
  • 고령자 공제: 만 60세 이상 최대 40%까지 추가 공제
  • 부부 공동명의 변경: 세금 분산 효과
  • 증여·매각 시기 조정: 과세 기준일(6월 1일) 전에 소유권 이전

 


 

💡 한 줄 요약
종부세는 보유 부동산의 공시가격 합산액이 일정 기준을 넘을 때 부과되며, 국세청 홈택스 ‘종부세 계산기’를 활용하여 절세 전략을 세울 수 있는 방법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